<덴마크 국방부>


덴마크 국방부는 10일(현지시간) 42억 달러 규모의 무기 구입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북극 및 북대서양 안보협약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올해 초 맺은 1차 북극 및 북대서양 협정(Agreement on the Arctic and North Atlantic)의 후속 협정이다.

협정 당사자는 덴마크 정부와 그린란드 및 페로 제도 정부다.

북극에서 작전 능력 강화

협정은 북극 및 북대서양 지역에서 덴마크 국군의 작전 효율성과 능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총 투자 규모는 274억 덴마크 크로네(DKK 27.4 billion, 약 42.6억 달러)에 달하는데, 대규모 신규 군수품 및 인프라 구축 투자가 포함된다.

세부적으로 △ 북극 함정 2척 획득 △ 해상 초계기 역량 확보 △ 쇄빙선 접근 및 활용 능력 확보 △ 북대서양 해저 케이블 구축 (그린란드-덴마크 연결) △ 그린란드 누크(Nuuk)에 새로운 합동 북극 사령부 본부 설립 △ 그린란드 내 새로운 군사 부대 창설 △ 공중 작전추가 드론 (무인기) 획득 △ 동(東) 그린란드에 새로운 공중 경보 레이더 설치 등이 추진된다.

덴마크 왕국 공동체(Rigsfællesskabet) 내에서 폭넓은 자치권을 행사하는 두 지역의 행정부를 의미한다.

핵심은 덴마크 본토와 그린란드 및 페로 제도가 하나의 주권 국가인 덴마크 왕국을 형성하지만, 두 지역은 내부적으로 상당한 독립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린란드와 페로 제도는 덴마크로부터 상당한 정치적 권한과 책임을 이양받았다. 이들은 자체적으로 법률을 제정하고, 내부 행정 및 경제적 책임을 지는 등 내부 문제에 대해 광범위하게 자치한다.

덴마크 중앙 정부는 외교, 국방, 사법 제도 등을 맡는다.

국방 및 안보와 같이 그린란드와 페로 제도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덴마크 정부가 해당 지역 정부와 긴밀하고 동등한 협력을 통해 결정을 내린다. 이번 군사 협정도 이러한 협력의 결과다.

러시아, 중국, 그리고 미국의 야심에 대응

북극 및 북대서양에 관한 제1차 협정(First Agreement on the Arctic and North Atlantic)은 2025년 1월에 체결되었으며, 제2차 협정의 기반이 되는 초기 국방 강화 계획이다.

러시아와 중국의 북극 지역 활동 증가, 글로벌 안보 환경 변화, 그리고 지역 내에서 덴마크 왕국의 주권 및 감시 역량을 강화할 필요성이 증대되었기 때문에 이뤄졌다.

제1차 협정은 북극 및 북대서양 지역에서의 감시 및 주권 유지 능력을 향상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총 약 140억 덴마크 크로네(DKK 14 billion, 약 20억 달러) 규모의 투자가 포함됐다.

덴마크가 이런 조치들을 취하는 이유는 북극 및 북대서양에 대한 여러 가지 지정학적, 전략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후 변화로 북극의 해빙이 녹으면서 북극 항로(Arctic Sea Route)의 접근성이 높아지고, 자원 개발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러시아는 군사적 주둔을 강화하고 있으며, 중국도 '니어-아크틱 국가(Near-Arctic State)'로서 경제 및 과학적 영향력을 확대하려 하고 있다.

또 북극은 NATO 동맹국들 사이에서 북미와 유럽을 잇는 전략적 요충지로 간주되며, 덴마크는 그린란드라는 지리적 이점 때문에 이 지역의 안보를 책임지는 핵심 국가가 되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그린란드에 대한 공개적인 '영토 야욕'을 반복적으로 드러내면서, 덴마크는 외부의 압력으로부터 자치령의 주권을 수호해야 할 필요성을 강하게 느꼈다. 이번 투자는 이러한 압력에 대한 단호한 대응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덴마크 북극 군사력은 노후화된 함정과 제한된 감시 능력으로 인해 광대한 북극 및 북대서양 지역을 모두 감당하기에 역부족이었다. 덴마크 국방장관은 이 지역에 "심각한 안보 및 국방 문제가 있다"고 인정했다.

신규 북극 함정, 해상 초계기, 드론, 해저 통신 케이블, 조기 경보 레이더 등의 도입은 덴마크군이 이 지역에서 상황 인식 능력(Situational Awareness)과 정보력(Intelligence)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효과적으로 주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할 것으로 기대된다.

윤구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