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최용석, 이하 수과원)은 올해 가을어기 서해 꽃게 어획량이 지난해 가을(7,885톤) 대비 약 104~140%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최근 5년 평균 11,539톤의 71~95% 수준)

올해 가을어기에는 꽃게 어장의 밀집과 분산에 작용하는 서해 저층의 냉수세력이 전년보다 연안 및 남쪽으로 확장되어 꽃게 어장이 밀집해 어획효율의 증가로 이어져 꽃게 어획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가을어기 어획량과 통계적 상관성이 높은 월동기(1~2월) 황해난류의 서해 수송량 증가와 봄어기 꽃게 크기의 증가도 어획량 회복 요인으로 분석된다.

다만, 장기간 고수온이 지속될 경우 어장이 분산되어 어획량이 줄어들 수 있어, 수과원은 지속적으로 수온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알릴 계획이다.

아울러, 봄어기 수온 저하로 산란·탈피 시기가 늦춰진 ‘탈피게’(껍질이 물렁한 상태의 꽃게)가 가을어기에 출현할 것으로 예상되나, ‘먹장게’(내장이 검은 꽃게)는 7월 어획시험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아 출현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올해 봄어기 서해 꽃게 어획량*은 3,889톤으로, 2024년(8,880톤) 대비 56% 감소했다. 수과원은 이러한 감소의 원인을 전년보다 낮았던 봄철 수온과 지난해 강수량 및 유생 분포밀도의 감소 등으로 분석하고 있다.

수과원 서해수산연구소는 2004년부터 매년 어기별로 꽃게 어획량 예측을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머신러닝, XAI(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등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예측 정확도를 더욱 높이고 있다.

이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