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해양문화자원을 활용한 연안도시 활력 증진 방안 연구』를 발표하고, 연안도시의 해양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지역 경제와 문화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해양문화자원을 단순한 보존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을 넘어,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정부는 「제1차 해양교육 및 해양문화 활성화 기본계획(2021~2025)」수립으로 해양문화산업 육성을 통한 연안경제 활성화와 국가 경제 발전 기여를 목표로 설정했으나, 정책 추진의 기본 토대가 되는 해양문화자원 실태조사조차 아직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연안도시가 보유한 해양문화 자산을 자원적·공간적으로 실증 분석하여 해양문화의 다층적 구조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책임자 이슬기 전문연구원은 “해양문화자원은 지역 정체성 확립과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이번 연구에서는 해양문화자원의 유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연안도시의 활력 증진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 방안을 도출했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해양문화자원 현황 분석 결과 전국 74개 연안 시군구 기준으로 평균 27.8건의 해양 문화자원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연안은 고성, 양양, 강릉, 삼척이 많은 유산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남해는 창원, 거제, 통영, 여수 등, 서해는 강화, 태안, 보령, 신안군의 자원 밀집도가 높았다.
이러한 자원적 특성과 연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해양문화자원의 체계적 관리 및 활용 전략 ▲해양문화 기반 도시재생 모델 구축 ▲지역주민 참여형 해양문화 프로그램 개발 ▲해양관광 및 창의산업과의 연계 강화 등 네 가지 주요 전략을 제안했다. 특히, 연안도시가 보유한 해양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도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지역 경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조정희 원장은 “해양문화자원은 우리나라 연안지역이 보유한 소중한 자산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때 지역경제 활성화와 문화적 정체성 강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고 말하며, “이번 연구가 연안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해양문화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