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삼성리서치 김태수 상무, 장준언 프로, 최윤재 프로

지난 8월 8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현장에는 긴장감이 흘렀다. 세계 최대 보안 기술 경진 대회 ‘AI 사이버 챌린지(AIxCC, AI Cyber Challenge)’ 1위 발표의 순간이다.

모두의 시선이 우승팀을 발표하는 스크린으로 쏠린 가운데, ‘팀 애틀란타(Team Atlanta)’의 로고가 떠오르자 적막을 깨는 함성과 박수갈채가 터져 나왔다. 지난 2년간의 노력에 대한 값진 결과를 보는 순간이었다.

AI 사이버 챌린지는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이 주최하는 글로벌 보안 기술 경진 대회다. 구글(Google),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오픈AI(OpenAI) 등 유수의 기업들이 후원하며 총 상금 규모가 2250만 달러(한화 약 313억 원)에 달하는 초대형 대회로, 사이버 보안과 AI 분야의 전문가라면 누구나 참여하고 싶어하는 ‘꿈의 대회’다.

팀 애틀란타는 쟁쟁한 실력자들을 제치고 당당히 1위에 올라 상금 400만 달러(한화 약 55억 원)를 거머쥐었다. 2년간의 준비 끝에 우승이 발표된 순간, 어떤 기분이 들었을까? 삼성전자 뉴스룸이 삼성리서치 Security & Privacy팀 김태수 상무와 장준언 프로, 그리고 AI Productivity팀의 최윤재 프로를 직접 만나 대회 준비 과정의 비하인드 스토리와 우승 소감을 들어봤다.

이에 따르면 팀 애틀란타는 삼성리서치를 포함, 조지아텍(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카이스트(KAIST), 포스텍(POSTECH) 등 세계적인 보안 연구원 40여 명이 모인 연합 팀이다. 이 팀을 구성하는 과정의 중심에는 삼성리서치 김태수 상무가 있었다.

김태수 상무는 현재 삼성리서치 상무이자 조지아텍의 교수로서 많은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그는 AI 사이버 챌린지 개최 소식을 듣고, 직접 지도했던 박사들에게 연락하여 함께하기를 권했다. 그렇게 그들은 팀 애틀란타의 핵심 구성원이 됐다.

김태수 상무가 이끄는 팀 애틀란타는 한국과 미국 동서부 등 다양한 지역 출신의 인재로 구성됐다. 그는 “다양한 지역에서 팀원들이 모인 만큼, 근거지를 기준으로 팀 협력 구조를 짜서 준비를 시작했다”며 “한국에 있는 일부 팀원들은 바쁜 시간을 쪼개 직접 미국 조지아텍에 와서 함께 작업하는 시간을 갖기도 했다”고 회상했다.

AI 사이버 챌린지는 대규모 소프트웨어(SW)의 취약점을 찾아 보완하는 기술력을 경쟁하는 대회다. 이 대회는 교통·전력·의료 등 사회 기반 시스템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AI 보안 기술 개발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 결승전 과제는 ‘AI가 자동으로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찾고 스스로 보안 패치를 생성하는 보안 시스템’이었다.

각 팀의 점수는 ‘취약점 발견 점수’와 ‘프로그램 복구 점수’의 합산으로 산출된다. 취약점 발견 점수는 주어진 코드 내 취약점을 정확하게 찾은 경우 부여되며, 프로그램 복구 점수는 해당 취약점을 성공적으로 패치한 경우 받을 수 있다. 즉, 각 팀이 제출한 보안 시스템이 주최 측의 소스 코드 내 존재하는 취약점을 보다 빠르게, 더 많이 발견하고, 한층 정확하게 패치할수록 높은 점수를 받는 구조.

삼성전자 연합팀 ‘팀 애틀란타’는 월등한 점수로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팀 애틀란타의 보안 시스템은 다른 팀의 시스템보다 더 많은 보안 취약점을 찾았고, 더 정확하게 패치했다는 의미다.

자바 프로그램에서 보안의 취약점을 탐지하는 LLM 에이전트 개발을 담당한 삼성리서치 장준언 프로는 “이번 대회에서 팀 애틀란타의 보안 시스템이 더 많은 취약점을 탐지하는데 일조했다”며 “팀원들 각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개발한 에이전트가 모여 여러 취약점을 커버하는 보안 시스템을 만들 수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삼성리서치 최윤재 프로는 찾아낸 보안 취약점을 자동으로 패치하는 AI 에이전트 개발을 담당했다. 최 프로는 “AI는 모두에게 동일하게 주어진 조건인 만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기술력”이라며 “새롭게 발견된 취약점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개발이 관건이었다”고 설명했다.

지난 8일, 준결승전을 통과한 7개 팀이 라스베이거스의 결승전 결과 발표 현장에 모였다. 2년간 땀 흘린 노력의 결과가 나오는 순간이었다. 세계 최대 보안 기술 경진 대회에 걸맞게 국내외 실력 있는 팀들이 모여 순위 발표를 기다리고 있었다. 결과 발표 행사가 시작되고, 3위와 2위 팀이 공개됐지만 팀 애틀란타는 호명되지 않았다.

장준언 프로는 “훌륭한 팀이 많이 참여한 만큼, 개인적으로 3위 안에만 들어도 좋겠다라고 생각했었다”며 “그래서 1위 팀 발표만을 앞두고 있었을 때, 약간의 걱정과 혹시나 하는 기대감이 교차하는 순간이었다”고 말했다.

결과를 발표하는 스크린에 팀 애틀란타의 로고가 떠오르며, 최종 우승을 확인했을 때의 분위기는 어땠을까. 최윤재 프로는 “혹시나 했는데 1위로 발표되자, 팀 전체가 축제와 같은 분위기였다”고 답변했다. 김태수 상무는 “준비하는 2년이 인생에서 가장 짧은 시간이었고, 결과 발표를 기다리는 1시간이 가장 긴 시간이었다”고 회상했다.

이어 김태수 상무는 “마감 기한 전에 미리 여유있게 제출했던 팀 애틀란타의 보안 시스템에서 치명적인 버그가 발견되어, 최종 제출 마감 기한 직전까지 고군분투했던 때가 떠올라 순간 울컥했다”며, “팀원 모두를 새벽 5시부터 깨워 문제를 해결했는데, 그때만 생각하면 아직도 아찔하다”고 덧붙였다. 이들의 답변에서 팀원 모두가 얼마나 진심을 다해 이 대회에 임했는지 보지 않아도 느껴졌다.

삼성전자는 이번 AI 사이버 챌린지 우승을 통해 전세계에 AI 보안 기술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며 존재감을 각인시켰다.

팀 애틀란타를 이끈 김태수 상무는 “삼성의 AI 보안 기술은 현재도 갤럭시 시리즈나 AI TV 등 삼성전자 제품과 서비스의 보안 강화에 적용되고 있다”며 “지속적인 오픈 소스 활동과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AI 보안 기술 분야의 세계적 리더로서 자리매김하겠다”며 포부를 밝혔다.

삼성전자는 앞으로 보안 취약점을 스스로 식별해 대응하는 차세대 AI 보안 솔루션을 지속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이버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글로벌 보안 생태계 강화를 위한 협력도 확대하며 글로벌 보안 기술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해 나갈 예정이다.

윤구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