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열린 대한민국 해사주간 고위급 회의에서 조정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원장이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전하고 있다.


지정학 리스크와 북극항로라는 거대 이슈가 등장한 해사산업의 키워드는 `안전'과 `국제협력'이라는 진단이 내려졌다.

20일 열린 2025 대한민국 해사주간 고위급 회의에서다.

이날 열린 고위급 회의는 각국정부, 국제기구, 산업계 대표자들이 모여 향후 해사산업의 방향을 가름하는 목표 아래 열렸다.

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 의장인 해리 콘웨이는 최근 핫이슈로 떠오른 북극항로와 관련해 "IMO의 폴라코드(Polar Code)는 북극과 남극 해역에서 운항하는 선박의 안전과 환경 보호를 위한 국제 규범으로,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됐다"며 "폴라코드는 극지방의 혹독한 환경에서 선박이 안전하게 운항하고 해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말했다. 현재 이 코드는 SOLAS(해상인명안전협약)와 MARPOL(해양오염방지협약)의 일부로 법적 구속력을 갖는다.

코웨이 의장은 넷제로 프레임워크가 1년 연기된 것과 관련해 "협의를 위한 시간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며 "방향성의 변화는 없다"고 전했다.

그는 "국가마다 이해가 다 다르기 때문에 서로 합의해 가는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프란시스 자카리아 IALA(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rine Aids to Navigation and Lighthouse Authorities) 사무총장은 "북극은 온난화의 피해지역"이라며 "북극항로는 러시아와의 관계, 쇄빙 이슈 등 준비할 게 많다"고 설명했다.

IALA는 전 세계 해양 항로의 안전과 효율성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다.

그는 "북극항로가 열리면 연강 26,000척의 배가 통과할 것이라며 북극관광 산업도 새롭게 펼쳐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노르웨이의 경우 연간 6000명이 그린란드를 관광차 방문하고 있다고도 했다.

현재 북극항로를 통해 연간 100척 정도가 운항하고 있고, 수에즈운하를 통해서는 20000척 이상이 통항하고 있다.

그는 "북극은 제반 인프라가 매우 부족하다"며 "비상시 수색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 이에 대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통신만 해도 관련 위성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전했다.

또 비상시 수색서도 캐나다 쪽은 비교적 괜찮지만 러시아쪽은 좋지 않다며 수색 구조 역량 강화가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콜린 헤네인 캐나다 교통부 해양환경 국장은 "세계는 지금 글로벌 무역 위기를 겪으면서 교역 상대국을 다각화할 필요를 느끼고 있다"며 "북극항로 역시 국제경쟁과 파트너십이라는 양가적 이슈로 부상했다"고 말했다.

국가적 이익을 위한 경쟁과 함께 국제협력이 없으면 이를 달성할 수 없다는 걸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오늘 한국 정부가 이런 자리를 마련한 것도 따지고 보면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상징하는 게 아니냐"고 평가했다.

그는 "최근 북극항로에서 선박이 갇힌 사고가 생겼는데, 근처를 지나가는 선박이 구조를 해 줘야 하는데, 무려 33일이 걸렸다"며 국제협력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조정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원장은 "해사산업은 지정학적 리스크와 북극항로라는 거대 물결 속에 대전환기를 맞고 있다"며 "이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쇄빙기술이 발전해야 하고, 안전인프라가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해사 생태계의 변화는 이에 걸맞는 거버넌스 구축이 전제돼어야 한다"며 "이를 위한 새 질서를 만들기 위한 국제협력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