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로 유입된 토사.[연합뉴스 자료사진]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이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고온충격이 국내 소비자물가 압력은 0.56%p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후대응 노력의 축소 내지 지연으로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될 경우 고온충격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이 2031~2050년 중 0.37~0.60%P, 2052~2100년 중에는 0.73~0.97%p로 현재(0.32~0.51%p)보다 2배가량 증가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한국은행은 최근 폭염, 폭우 등 극한기상 현상(extreme weather event)으로 인한 물가 불안 우려가 커지는 점을 감안하여, 기상충격이 국내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처럼 나타났다고 8일 BOK이슈노트를 통해 밝혔다.

이 연구는 주로 기상변수의 추세적 변화(예: 연평균 기온상승)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는 기존 연구와 달리, 극한기상 현상의 영향을 직접 평가하고 이를 고려하여 미래 물가상승률 변화를 예측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에서 기상충격은 고온 및 강수 충격으로 구분(각각은 월별 일최고기온 및 일최다강수량과 과거 월별평균 간의 차이)했는데, 이 중 충격의 규모가 상위 5% 이상인 경우는 극한고온 및 극한강수 충격으로 지칭했다.

분석 결과, 국내 기상충격의 영향은 단기에 그치지 않고 장기간(12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고온충격이 국내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은 24개월 이상 지속(24개월 평균, 0.055%p 상승)되었으며, 10mm 강수충격 발생 시에는 15개월 이상 지속(15개월 평균, 0.033%p 상승)됐다.

또한, 기상충격의 강도가 커질수록 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은 비선형적으로 증가했다. 예컨대,
고온충격의 크기가 상위 5% 미만인 일반고온충격 발생 시 12개월간의 물가상승 압력은 0.03%p 수준이었으나, 극한고온 충격 발생시에는 0.56%p까지 확대됐다.

여기서 극한고온 충격은 고온충격의 크기가 상위 5% 미만에 해당할 때를 가리킨다.

이러한 결과는 기상충격의 비선형성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기상충격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과소평가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국은행>


세부 품목별로 보면, 상품물가는 농‧수산물을 중심으로 고온・강수 충격 모두에 뚜렷한 상승압력을 받았으나, 서비스물가의 경우 고온충격에는 상승압력을, 강수충격에는 하락압력을 받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서비스의 경우, 고온충격이 노동생산성 저하, 운영비 증가 등을 통해 생산비용 상승을
유발하는 반면, 강수충격은 서비스 수요감소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해석됐다.

극한기상 현상을 포함한 기상청 기후전망을 반영하여 미래 물가상승률 변화를 추정해 보면,
기상충격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기후대응 노력의
축소‧지연으로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될 경우, 고온충격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이 2031~2050년 중 0.37~0.60%p, 2051~2100년 중에는 0.73~0.97%p로 현재(0.32~0.51%p)보다 2배가량 증가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물가상승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농‧축‧수산업 등 기후 취약 부문의 생산성 및 공급 안정성을 확보하고 재난 대응 인프라 등 기후 적응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 보험‧금융 관련안전장치를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아울러, 극한기상 현상이 일상화되는 상황에 대비하여, 중장기적 시계에서 실물‧금융경제, 통화정책 운영 여건 등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정책 마련을 위한 연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이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