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SK그룹이 엔비디아, 오픈AI,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과 맺은 파트너십을 통해 급증하는 인공지능(AI) 수요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X
최태원 회장, SK AI 서밋 기조연설 (서울=연합뉴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SK그룹은 생산능력(캐파)을 늘리고 기술 개선을 통해 메모리 병목 현상을 해결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SK AI 서밋은 SK그룹 차원에서 매년 개최하던 행사로, 올해는 오픈AI, 아마존, 엔비디아, TSMC 등 다양한 글로벌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는 초고용량 메모리 칩을 개발하거나 낸드 콘셉트를 도입하는 방식으로 돌파구를 찾았다"며 "SK하이닉스 기술력은 업계에서 충분히 증명됐다고 생각한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이어 "젠슨 황 CEO조차도 우리에게 더 이상 개발 속도 얘기는 하지 않는다"며 "(이는) 우리가 충분히 준비돼있다는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작년에 열린 'SK AI 서밋'에서 최 회장은 "엔비디아는 새로운 그래픽처리장치(GPU)가 나올 때마다 SK하이닉스에 더 많은 HBM을 요구하고, 합의된 일정도 항상 앞당겨 달라고 요청한다"며 "지난번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와 만났을 때, HBM4(6세대) 공급을 6개월 당겨달라고 해서 해주겠다고 했다"고 전한 바 있다.
SK그룹은 최근 오픈한 청주 M15X 공장과 2027년 완공되는 용인클러스터를 기반으로 캐파 확장에 나설 계획이다.
최 회장은 "용인클러스터에는 커다란 팹이 4개 들어가는데 1개의 거대한 팹에는 청주 M15X 팹 6개가 들어갈 수 있는 규모"라며 "용인 클러스터가 다 완성이 되면 24개의 청주 M15X 팹이 동시에 들어가는 셈"이라고 말했다.
X
'SK AI 서밋'에서 영상 메시지를 통해 발언하는 샘 올트먼 오픈AI CEO (서울=연합뉴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와 앤디 제시 아마존 CEO는 이날 영상 메시지를 통해 SK그룹과의 파트너십에 관해 설명했다.
올트먼 CEO는 "SK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한국과 전 세계의 AI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장기적 협력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며 "우리가 그리는 미래는 모든 개인이 자신만의 지능형 AI 어시스턴트를 갖고 도움을 받는 세상으로 이런 미래를 실현하려면 막대한 규모의 인프라 투자와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트먼 CEO는 차세대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전 세계 협력 프로젝트 '스타게이트'라는 글로벌 이니셔티브가 출범했다고 덧붙였다.
SK는 이 프로젝트의 핵심 파트너로 참여한다. SK하이닉스는 D램 웨이퍼 기준 월 최대 90만장 규모의 고대역폭 메모리(HBM) 공급 요청에 적기 대응할 수 있는 생산 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올트먼 CEO는 "SK와 파트너십은 단순한 비즈니스 협력을 넘어선다"며 "한국은 이미 AI 도입과 활용 면에서 세계적인 선도국가로, SK는 이러한 기반 위에 최첨단 기술 역량과 전문성을 더해 한국의 강점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제시 CEO는 현재 진행 중인 SK와 협력과 함께 앞으로의 파트너십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는 "한국의 많은 기업이 빠른 혁신 압박, 복잡한 고객 요구, 효율적 확장이라는 현실적인 과제에 직면해 있다"며 "이런 도전은 대담하고 미래지향적인 해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SK와 AWS가 울산에 약 7조원(약 49억달러) 규모로 구축 중인 AI 데이터센터(AI DC)가 그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봤다.
제시 CEO는 "SK와의 파트너십이 특별한 이유는 우리가 대규모 AI 운영 과정에서 얻은 실질적 교훈을 함께 적용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향후 반도체를 포함한 차세대 분야에서도 함께 협력할 여지가 많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