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바다 기회의 바다> 30. 지구온난화 속도, 바다에서는 최근 20년 동안 두 배 증가

산업화 이래 해양산성도 30% 증가
해양의 산소 함유 2% 감소...동식물 서식에 안좋은 변화

윤구현기자 승인 2024.12.12 14:11 | 최종 수정 2024.12.12 20:57 의견 0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해변에서 발견된 심해어 산갈치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X 게시물/연합


지구 온난화에 따른 지구 생태계의 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바다의 온도 증가 속도가 최근 20년간 두 배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바다의 산소함유량은 2% 줄었고, 산성도는 30% 늘어나면서 해양 동식물의 서식 환경이 파괴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양환경 보전을 위한 국제적 노력이 더욱 가속화되어야 한다는 시그널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근 유네스코 정부간해양학위원회(IOC)가 발간한 2024년해양보고서(StOR)가 주목되는 이유다.

이 보고서는 25개국 98명의 전문가와 45명의 리뷰 전문가, 국제 자문위원회의 검토 덕분에 나온 글로벌 노력의 산물이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유엔 해양과학 10년(2021-2030)의 7가지 결과를 중심으로 구성된 이 보고서는 해양 상태를 설명하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변수를 다루고 해양에 대한 위협을 요약하며 관측 인프라, 데이터 및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설명하고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다.

150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유네스코 정부간해양학위원회(IOC)는 전 세계 해양 과학 및 서비스를 지원하는 유엔 기구다.

20년 만에 두 배로 증가한 해양 온난화 속도

대기 온도는 변동이 심하지만, 바다는 꾸준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뜨거워지고 있다.

해양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바다는 20년 전보다 두 배 빠른 속도로 온난화되고 있다.

파리 협정은 지구 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2°C 이하로 유지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미 해양 온도는 평균 1.45°C 상승했으며 지중해, 대서양 열대 및 남해에서 2°C를 넘는 해역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온난화의 극적인 결과 중 하나는 전 세계의 해수면 상승이다.

바다는 대기로 방출되는 과도한 열의 90%를 흡수하며, 물이 뜨거워지면 팽창한다.

해수 온난화는 현재 전 세계 해수면 상승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난 30년 동안 해수면 상승률은 두 배로 증가하여 총 9cm가 상승했다.

산소 농도 감소로 질식하는 연안 생물들

1960년대 이후 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과 폐수 및 농업 유출수 등의 오염 물질로 인해 바다는 산소의 2%를 잃었다.

해안 지역은 특히 영향을 많이 받는데, 산소 함량 감소로 인해 해양 생물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데드 존'이 약 500곳이나 발견되는 등 해양 생물들의 생존 환경이 취약해 지고 있다.

화석 연료 배출량의 25~30%가 해양에 흡수되는 이산화탄소의 과잉으로 인해 해양의 화학 성분이 재편되고 있는 것도 우려된다.

산업화 이전 이래 해양 산성도는 30% 증가했으며 2100년에는 17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IOC 유네스코 해양 현황 보고서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먼 바다는 꾸준히 산성화되고 있는 반면, 연안 해역은 산성도가 급격히 변동하고 있어 동식물이 생존하기에 매우 취약해지면서 대량 폐사를 초래하는 등 연안 생물종이 다시 한 번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블루 카본과 해양보존지구: 희망의 등대

맹그로브, 해초 평원, 갯벌 습지를 포함한 해양 숲은 육지의 숲보다 최대 5배 더 많은 탄소를 흡수할 수 있다.

생물 다양성을 위한 중요한 서식지일 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를 막는 최고의 방파제 중 하나다.

그러나 IOC 유네스코 해양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약 60%의 국가가 여전히 해양 초지 복원 및 보전을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보호구역은 생물다양성을 보호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IUCN 적색 목록에 있는 1500종의 멸종위기 해양생물 중 72%가 서식하고 있다.

새로운 데이터에 따르면 해양보호구역의 규제 수준이 높을수록 지역 생태계를 보호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윤구현기자

저작권자 ⓒ 뉴스커런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