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O의 탄소중립 프레임워크는 강제적인 배출한도 및 온실가스 가격시스템을 결합해 해운업 전체에 적용하게 된다. <사진=IMO 홈페이지>


국제해사기구(IMO)가 미국의 반대 속에 전세계 선박의 온실가스(GHG) 배출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의결했다.

이 결정을 통해 법적 구속력이 있는 프레임워크를 구축했는데, 2050년경 또는 그 근처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제로로 만드는 걸 목표로 한다. 

IMO 탄소중립 프레임워크는 의무적 배출 한도와 GHG 가격책정을 결합한 세계 최초의 프레임워크다. 

11일(현지시간) IMO 발표에 따르면 2025년 4월 7일부터 11일까지 열린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83)는 선박에 대한 새로운 연료 기준과 배출량에 대한 글로벌 가격책정 메커니즘이 포함된 조치를 의결했다.

2027년에 발효를 예정하면서 2025년 10월에 공식적으로 채택될 이 조치는 국제해운에서 발생하는  총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85%를 배출하는 5000톤 이상의 대형선박에 의무화된다.

이를 준수하지 못하는 선박이 운항하려면 IMO에 온실가스 배출량에 비례하는 비용을 내야 한다.

기준을 초과 달성한 선박은 초과한 만큼에 해당하는 권리를 기준 미달 선박에게 팔 수 있다.

이번 회의는 미국이 최근 빠지겠다고 선언하면서 주목됐는데,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기후변화 대응에 회의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외신에 의하면 미 국무부는 이번주 초 각국에 보낸 메시지에서 "미국은 온실가스 배출 또는 연료 선택에 근거해 미국 선박에 경제적 조치를 부과하는 어떤 시도도 반대한다"며 "83차 MEPCC에서 어떤 협상에도 관여하지 않으며 귀국도 온실가스 조치에 대한 지지를 재검토하기를 촉구한다"고 했다.

아르세니오 도밍게스 IMO 사무총장은 이번 주 회원국들이 보여준 협력과 헌신의 정신을 높이 평가하면서 "IMO 탄소중립 프레임워크를 의무화하는 MARPOL 부속서 VI에 대한 개정안 초안 승인은 기후변화에 대처하고 해운을 현대화하기 위한 우리의 집단적 노력에서 또 다른 중요한 단계를 뜻하면 IMO가 약속을 이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윤구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