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새 정부 출범에 맞춰 급변하는 국제 해양정세 및 탄소중립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정부 정책 지원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두 개의 전담 연구 조직인 ‘해양경제안보지원단’과 ‘해양수산에너지전환지원단’을 설치·운영한다고 밝혔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지난주 새 정부의 국정과제 이행과 해양수산분야 미래 전략 수립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북극항로지원단’과 ‘해양수산AI전환지원단’을 신설하여 북극항로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물류 전략 강화와 디지털 전환에 대응한 해양수산 분야의 AI 활용 기반 마련에 착수한 바 있다.

이어, 최근 급변하는 통상 환경 변화에 따라 해양안보가 경제안보와 결합, 무역안보·물류안보가 경제외교 및 해양주권과 함께 융복합 정책 이슈로 등장했다. 이에 해양경제안보 분야 현안 진단 및 정책 지원을 위해 현재 운영 중인 해양안보정책지원단의 기능과 외연을 확장한 ‘해양경제안보지원단’을 설치·운영하여 경제안보이슈 대응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지원단은 해양안보전략연구실을 중심으로 각 부서 전문 연구진이 참여하여 ▲현안 진단 ▲동향 분석 ▲정책 의사결정 데이터 지원 ▲관련 법안 제·개정 검토 및 정책 지원 ▲관련 연구 수행 등을 통해 융복합 대응 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지구온난화 및 탄소배출 저감 등이 글로벌 핵심 이슈로 부상함에 따라 해양수산 분야 또한 탄소중립 전환을 통한 경제와 환경의 조화로운 발전 필요성이 대두됐으며, 체계적인 정부 정책 수립 지원을 위해 ‘해양수산에너지전환지원단’을 신설·운영한다.

지원단은 탄소중립 및 친환경 에너지 연구 경험이 풍부한 연구진이 참여하여 ▲정기 워크숍 및 세미나 개최 등을 통한 전문가·현장 의견 수렴 ▲해양수산분야 에너지 전환 관련 법령 제·개정 및 정책 수립 지원 ▲관련 연구 수행 등을 통한 에너지 전환 로드맵(2026~2050)수립에 착수한다.

이로써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새 정부의 국정과제를 체계적으로 뒷받침하고 해양수산 분야의 미래 전략을 선제적으로 수립·실행하기 위해 △북극항로지원단 △해양수산AI전환지원단 △해양경제안보지원단 △해양수산에너지전환지원단 등 ‘4대 지원단 체계’를 구축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조정희 원장은 “북극항로, AI전환, 해양경제안보, 에너지전환 등의 핵심 과제는 단순한 연구 주제를 넘어 해양수산의 지속가능성과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수 있는 전략적 과제이다”고 언급하며 “4대 지원단을 통해 정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실효성 있는 정책 대안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마련, 새 정부 국정과제 실행에 실질적으로 기여함과 동시에 글로벌 해양 강국 실현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