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최근 5년간(2020~2024년)의 신용카드 및 이동통신 빅데이터를 분석해 우리나라 연안지역의 해양관광시장 소비 규모 와 소비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최일선 박사팀(해양관광·문화연구실) 분석 결과 2024년 전국 연안지역의 전체 상권 규모는 63조 4,63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63% 감소했다. 이중 해양관광시장 소비규모는 38조 9,208억 원으로 전년 대비 4.9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전체 연안지역 소비시장 보다 두 배에 가까운 하락률을 보였으며 해양관광 부문이 경기 둔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특히 2024년에는 전국 11개 연안지역 모두에서 해양관광 소비가 일제히 감소했으며, 이 중 제주연안은 –9.4%로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인천연안과 전남연안 역시 각각 –6.4%로 소비 위축이 두드러졌으나 강원연안은 –1.2%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해양관광시장 소비 규모가 가장 컸던 지역은 부산연안으로 6조 3,796억 원을 기록했으며 이어 전남연안(5조 1,945억 원), 경남연안(5조 1,633억 원) 순이었다.
반면 연안상권 내 해양관광 비중은 강원연안(74.9%), 제주연안(70.5%), 경북연안(69.4%) 순으로 높아 해당 지역의 경제구조가 해양관광산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윤구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