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연합뉴스) 최태원 SK그룹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28일 "대한민국이 인공지능(AI) 시대의 병목(보틀넥 현상)을 풀어내는 테스트 베드(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자신한다"고 말했다.

X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경주=연합뉴스)

최 회장은 이날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 문무홀에서 열린 '퓨처테크포럼:AI'에서 "AI 데이터센터를 많이 지어야 하는 현재, 그 안에 들어가는 칩(반도체)부터 에너지까지 모두 병목현상을 일으키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퓨처테크포럼은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의 부대행사로, 포럼 내 AI 파트는 SK그룹이 주관한다.

최 회장은 늘어나는 AI 데이터센터와 더불어 논리적인 사고·추론이 가능한 기존 '리즈닝(Reasoning) AI'가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에이전틱(Agentic) AI'로 전환됨에 따라 전 세계가 칩과 에너지 부족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봤다.

최 회장은 "한국은 새롭고 빠르게 적응하는 '스피드'를 발휘해 병목을 풀어낼 것"이라며 "이는 과거에 한국이 인터넷이나 모바일 역사에서 이미 증명해냈던 일로, AI 역시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확산·진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저비용의 AI 모델 개발, 데이터 애그리게이션(흩어진 데이터를 모아 하나의 형태로 정리) 등도 필요하다고 봤다.

최 회장은 "모든 것들이 상당히 빠른 속도로 접근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한민국이 그런 많은 분야에 빠른 속도로 접근하게 되면 실제로 많은 테스트 베드가 되고, 벤치마킹 대상이 돼 전 세계 AI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이 기술 자립과 전 세계 확산을 목표로 국가 차원의 AI 전략을 세우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 역시 이 같은 파고에서 새로운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게 최 회장의 설명이다.

최 회장은 "저희도 투자를 많이 한다고 생각했는데 (다른)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들어보면 저희가 투자하는 단위 액수에 영(0)이 한두 개는 더 붙는 수준으로 속도 경쟁이 아주 치열하다"며 "(투자를) 하는 곳과 안 하는 곳의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게 되고 AI도 폴라이제이션(양극화)을 만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X

'퓨처테크포럼 AI'에서 환영사하는 최태원 회장 (서울=연합뉴스)

개인플레이가 아닌 협동플레이가 필요하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최 회장은 "글로벌 플레이어와 협력도 해야 한다"며 "그런 의미에서 아마존웹서비스(AWS)와 SK의 울산 AI 데이터센터 건립이나 오픈AI와의 스타게이트 협력은 대한민국 AI 생태계를 확장하는 또 하나의 기폭제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술 자립과 신뢰 기반의 협력, 이 두 가지가 병존하는 대한민국을 넘어 많은 APEC 국가가 이런 모델을 레퍼런스(참고)로 볼 만하다고 생각한다"며 "이 두 가지 축을 어떻게 조화롭게 가져갈지가 대한민국뿐 아니라 많은 나라들의 숙제"라고 덧붙였다.

행사 이후 기자들과 만난 최 회장은 이번 APEC CEO 서밋을 계기로 SK와 엔비디아와의 추가 협력 발표 가능성을 시사했다.

현재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에 탑재되는 대부분의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공급하는 등 강력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최 회장은 "황 CEO가 한국의 많은 기업과 협력 이야기를 할 것"이라며 "SK도 무언가 새로운 이야기를 조금씩 하게 될 것 같다. 황 CEO의 발표를 들어보는 게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황 CEO는 이번 CEO 서밋의 마지막 날인 오는 31일 특별 세션을 갖고 AI 혁신의 비전을 발표한다. 연이어 별도 미디어 행사를 통해 국내외 언론과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이번 행사 기간 방한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만남 여부에 대해선 "트럼프 대통령 영접이 제 의무니까 그렇게 할 것"이라면서도 예상되는 의제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