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개발된 은연어 세포 기반 초밥용 배양육 /해양수산부

정부는 트럼프 2기 파고를 넘어 올해 31억5000만달러의 수산물 수출을 적극 추진한다.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18일 `2025년 수산식품 수출전략'을 통해 수산식품 수출 역대 최대치인 31.5억 달러 달성과 천만 달러 수출기업 70개 육성을 목표로 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전략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예상되는 보편관세 부과 및 비관세장벽 강화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고부가가치 수산식품 개발 및 대규모 인프라 조성 등을 통해 우리 수산식품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해수부는 우선 미국 등 통상환경 변화 대응 및 수출시장 다변화를 추진한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무역 기조가 강화되면서 우리나라의 주요 수산식품 수출 대상 국가인 미국과의 교역에 미칠 영향에 선제적으로 대비한다.

우선 △수출기업 정책자금 융자 지원(우수수산물지원, 1,489억 원, 전년대비 165억 원 증가)을 통한 기업 유동성 부담 최소화, △국내외 공동물류센터 지원 확대 등을 통한 물류비용 부담 완화를 추진한다.

아울러, 수출 규제 전담 비관세장벽 대응센터를 확대 운영하고 ‘비관세장벽 플랫폼’을 신규로 개설한다.

특히, 2026년부터 시행 예정인 `해양포유류보호법(MMPA)' 및 `식품안전현대화법(FSMA)'에 따른 수입 규제 강화 조치에 대비하여, 수출허가증명서 발급 등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수산식품 수출 이력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수출 보험 및 바우처 지원을 확대하여 환율 변동과 무역 분쟁에 따른 중소 수출기업들의 무역 리스크 대응력을 강화한다.

또 굴·전복 등 차세대 유망품목 육성 및 고부가가치화에 나선다.

수출 1위 전략품목인 김은 생산-가공-수출 전(全) 주기 종합대책을 바탕으로 안정적 생산 지원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주도권을 더욱 공고히 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고수온에 강한 신품종 개발, △마른김 등급제 도입 및 △국제 김 거래소 설립 추진, △K-GIM 브랜드 확산 등을 추진한다.

수출 2위 품목인 참치는 횟감용 필렛 및 프리미엄 가공 참치 개발, 국제인증 취득 지원 등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시장 확대를 추진한다.

또한, 굴 등 차세대 유망품목으로 세계 시장을 적극 공략하기 위해 유럽·중동·아세안 등 신흥시장을 대상으로 훈제 굴, 굴 감바스 등 가공제품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스마트 가공단지·수출클러스터 등 대규모 인프라 구축을 추진한다.

수산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기반 조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전남 해조류 특화 수출단지와 부산 R&D 특화 수출단지를 조성하고, ‘스마트가공종합단지’도 전북과 경북에 각각 구축하여 권역별 산업 집적화를 도모한다.

아울러, 스마트 가공공장 및 자동화 가공시설 지원을 통해 수출 물량의 안정적 확보에 힘쓸 계획이다.

특히, IoT·AI 기반 스마트 가공기술 도입을 통해 경쟁력을 갖춘 고품질 수산식품 생산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수산식품 수출기업의 브랜드 무단 선점·도용 등 지재권 피해 대응을 위해 관련 부처 및 전문기관 간 협업체계 구축도 추진한다.

윤구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