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오징어(빙하유리오Mesonychoteuthis hamiltoni) 가 자연 서식지에서 생생하게 관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슈미트해양연구소의 연구선 팔코르 호의 연구팀은 새로운 해양 생물을 찾기 위한 탐사 중 원격조종 잠수정 수바스티안(SuBastian )을 이용하여 수심 600m에서 길이 30cm에 달하는 거대오징어의 새끼 모습을 영상으로 포착했다. 이 탐사는 남대서양의 외딴 사우스샌드위치 제도에서 진행되었다. 올해(2025년)는 최대 7m까지 자랄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오징어가 발견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슈미트해양연구소>
미국 슈미트해양연구소(Schmidt Ocean Institute)는 15일(현지시간) 연구선 팔코르(Falkor)에 탑승한 국제 과학자 및 승무원 팀이 자연 환경에서 거대 오징어(Mesonychoteuthis hamiltoni)를 처음으로 촬영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30cm 크기의 어린 오징어는 연구소의 원격조종 잠수정(ROV) 수바스티안(SuBastian)이 수심 600m에서 영상으로 포착했다. 이 목격은 남대서양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근처 탐사 중 3월 9일에 이루어졌다. 올해는 유리오징어과(Cranchiidae)에 속하는 거대 오징어를 식별하고 공식적으로 명명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또한 1월 25일 이전 팔코르 탐사팀이 남극 근처 남극해에서 빙하유리오징어(Galiteuthis glacialis)의 첫 번째 확인 영상을 촬영했다. G. glacialis는 자연 환경에서 살아있는 모습이 관찰된 적이 없는 또 다른 빙하유리오징어 종이다.
거대한 오징어 영상을 포착한 35일간의 탐험은 새로운 해양생물을 찾는 프로그램인데, 슈미트해양연구소, 니폰파운데이션-넥톤오션센서스(Nippon Foundation-Nekton Ocean Census), 고사우스(GoSouth)의 협업으로 이루어졌다. 고사우스는 프리무스대학(영국), 헬름홀츠해양연구센터(GEOMAR Helmholtz Centre for Ocean Research, 독일), 영국남극조사(British Antarctic Survey)의 공동 프로젝트다.
오클랜드공과대학교의 캣 볼스타드 박사는 "어린 거대한 오징어의 현장 영상을 처음 보는 것은 흥미롭고, 이 생물들이 인간의 존재 자체를 모른다는 생각에 겸손해진다"라고 말했다. 그는 "100년 동안 우리는 주로 고래와 바닷새의 뱃속에 있는 먹이 잔해에서만 그들을 만났을 뿐"이라고 말했다.
거대오징어는 최대 7미터까지 자라고 무게는 최대 500킬로그램까지 나갈 수 있어 지구상에서 가장 무거운 무척추동물이다. 거대오징어의 생활 주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이번에 어린 시절의 투명한 모습이 나온 것이다.
이전에 어부들이 죽어가는 성체의 모습을 촬영한 적은 있지만, 심해에서 살아있는 모습을 본 적은 없다.
이 영상은 빙하유리오징어(Galiteuthis glacialis)의 첫 번째 확인된 영상이다. 이 오징어는 슈미트해양연구소가 1월에 남극 근처 벨링스하우젠해 조지6세 빙붕에서 시카고만 한 크기의 빙산이 떨어져 나온 후 해저를 조사하는 동안 기록되었다. 687미터 수심에서 촬영된 이 영상에서 투명한 빙하유리오징어는 다른 빙하유리오징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앵무새 자세와 비슷하게 팔을 머리 위로 느슨하게 뻗고 있다. 빙하유리오징어는 지금까지 자연 환경에서 살아있는 모습이 관찰된 적이 없다. <슈미트해양연구소>
유리오징어과의 전문가인 에런 에반스 박사도 두 오징어의 영상을 확인했다. 볼스타드와 에반스는 거대오징어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여덟 개의 팔 가운데에 갈고리가 있다는 것이며 , 이것이 거대오징어(G. glacialis) 와 구별되는 특징이라고 말했다. 그 외에는 어린 거대오징어와 빙하유리오징어는 투명한 몸과 두 개의 긴 촉수 끝에 날카로운 갈고리가 있는 등 유사하다.
사우스 샌드위치 제도 탐사에서 니폰파운데이션-넥톤해양센서스 팀을 이끌었던 에식스대학교의 수석 과학자 미셸 테일러 박사는 "바다에 있는 동안 잠수정 팔코르를 통해 분류학 공동체의 힘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라고 말했다.
빙하유리오징어의 첫 번째 확인된 영상은 슈미트해양연구소의 1월 탐사 중 남극 근처 벨링스하우젠 해에서 촬영되었다. 탐사대는 시카고 크기의 빙산이 조지 6세 빙붕에서 떨어져 나온 후 해저를 조사했다. 뉴질랜드 테파파통가레와 박물관의 심해 전문가 톰 린리 박사는 탐사선의 임무 통제실에서 심해잠수정의 영상을 확인하던 중 동료 볼스타드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687미터 수심에서 촬영된 이 영상에서 투명한 유리빙하오징어는 다른 유리오징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앵무새 자세와 유사하게 팔을 머리 위로 느슨하게 올리고 있다.
슈미트해양연구소의 조티카 비르마니 박사는 "연이은 탐사에서 두 종류의 오징어를 처음 목격한 것은 놀라운 일이며, 남극해의 이 웅장한 생물들을 거의 보지 못해왔다는 걸 일깨워 준다"라고 말했다. 그는 "다행히도 우리는 이 생물들의 고해상도 영상을 충분히 확보하여, 당시 배에 타고 있지 않았던 전 세계 전문가들이 두 종을 모두 식별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한편 슈미트해양연구소는 2009년 에릭 슈미트와 웬디 슈미트가 설립했다. 영향력 있는 과학연구와 지능적인 관측, 기술 발전, 정보의 개방적인 공유, 그리고 대중 참여를 통해 해양을 이해하고, 생명을 유지하며, 지구의 건강을 보장하는 데 필요한 발견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니폰파운데이션-넥톤해양센서스는 해양생물 발견을 가속화하기 위한 세계 최대 규모의 프로젝트다. 2023년 4월에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자선활동, 정부, 과학, 기업, 언론, 그리고 시민 회가 힘을 합쳐 해양생물 발견 및 연구방식의 혁신을 추구한다. 현재까지 기록된 해양 생물은 24만 종에 불과하며, 아직 수백만 종이 더 발견되지 않은 상황에서 해양센서스는 중요한 생물다양성 지식을 넓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윤구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