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해양수산부가 주최하고 북극대학연합(UArctic)과 공동으로 주관한 ‘2025 북극아카데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북극아카데미는 2015년 시작된 북극 국제교육 교류 프로그램으로 올해 10주년을 맞았다. 현재까지 총 386명의 수료생을 배출하며 북극/비북극 지역간 청년 북극 전문가 양성의 요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북극아카데미는 7월 7일부터 12일까지 6일간 7개 북극권 국가 대학(원)생 15명을 포함한 총 31명의 국내외 대학(원)생이 참가하였으며, 참석자 모두 전 과정을 이수하여 수료증을 받았다.
이번 아카데미는 북극권 대학(원)생들과 한국 학생들이 함께 참여한 가운데, 부산, 인천, 서울을 잇는 일정으로 구성되어 이론과 현장 체험을 아우르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5년 만에 해외 학생들을 한국으로 직접 초청하는 방식이 재개되어 국제대면교류의 본래 취지를 회복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은 행사였다.
3일간의 집중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자들은 △북극정책 △과학 △원주민 △해양환경 △해운 △조선 △중앙북극공해보전협정(CAOFA) △청색경제 등 다양한 북극 관련 이슈를 주제로 강연과 토론에 참여했다.
또한, 다양한 학술프로그램과 함께 고신대학교 태권도선교학과와 연계한 ‘태권도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참가자 간 문화 교류의 장을 마련하였으며, 부산 신항과 북항을 견학하며 우리나라 해양물류 현장을 직접 체험하고 인천 소재 극지연구소(KOPRI)를 방문해 한국의 극지 과학연구 역량을 확인하는 시간도 가졌다.
올해 아카데미에는 △북극이사회 의장 케네스 외(Kenneth Høegh) △노르웨이 북극대학교(UiT) △노드대학교(Nord University) 등 세계 북극 전문기관 소속 전문가들이 강연자로 참여하여 북극 이슈에 대한 심도 있는 국제 논의를 이끌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조정희 원장은 “이번 아카데미는 북극항로, 기후변화, 지속가능한 해양 활용 등 글로벌 현안을 놓고 다양한 국가의 청년들이 함께 고민하고 소통한 뜻깊은 자리였다”고 말하며 “앞으로도 KMI는 산·학·연·정이 함께하는 글로벌 협력 플랫폼으로서, 북극 분야 국제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윤구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