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마운하에 대한 중국의 입김을 빼기 위한 미국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파나마운하 양쪽 입구 근처에 중국이 운영권을 가진 항구가 유사시 파나마운하에 대한 통제에 나설 수 있음을 강조하면서 파나마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군사력 동원까지 언급했지만 미국 국무장관의 파나마 대통령 면담 및 운하 방문 등을 계기로 파나마 정부의 개선 방안을 지켜보는 쪽으로 방향을 잡는 양상이다.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2일(현지시간) 호세 라울 뮬리노 파나마 대통령을 만나 자리에서 파나마가 파나마 운하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과 통제를 끝내기 위한 조치를 즉시 취하지 않는다면 미국은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파나마시티에서 열린 미 국무장관과의 회담 후, 뮬리노는 중국과 관련된 협정을 검토할 것임을 시사하며, 파나마 국민의 미국 이주에 관한 미국과의 추가 협력에 나설 것임을 발표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일(현지시간) 전했다.
다만 세계에서 두 번째로 바쁜 수로에 대한 자국의 주권은 논의할 여지가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루비오의 압박..."중국의 운하 양쪽 항구 운영을 미국-파나마 조약 위반"
루비오는 운하 입구 근처 두 개의 항구를 운영하는 홍콩 기반 회사를 통한 중국의 존재가 수로에 대한 위협이자 미국-파나마 조약 위반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타미 브루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성명에서 밝혔다.
브루스 대변인은 "루비오 장관은 이러한 현상 유지가 용납될 수 없으며 즉각적인 변화가 없다면 미국이 조약에 따라 자국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라고 말했다.
루비오는 파나마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미국의 보복이 어떤 모습일지 정확히 설명하지는 않았다.
트럼프는 20세기 초 미국이 건설하고 1999년 파나마에 넘겨준 파나마 운하가 베이징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파나마에 대한 군사력 사용을 배제하지 않아 미국의 라틴 아메리카 친구들과 적들 모두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다.
2일 트럼프는 군대가 필요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파나마가 협정을 위반했고 미국은 운하를 되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기자들에게 "중국이 파나마 운하를 운영하고 있다. 그것은 중국에 주어진 것이 아니라, 어리석게도 파나마에 주어진 것이지만 그들은 협정을 위반했고, 우리는 그것을 되돌릴 것이며, 그렇지 않으면 매우 강력한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파나마에는 군대가 필요하지 않을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상원에 있으면서 오랜 동안 중국에 대해 매파였던 루비오는 지난주 "중국이 중국과 미국 간의 분쟁이 발생할 경우 항구를 이용해 미국의 중요한 항로인 운하를 폐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뮬리노는 루비오와의 만남이 우호적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홍콩에 본사를 둔 CK 허치슨 홀딩스 0001.HK에 대한 25년간의 주요 양허를 포함하여 파나마 내 일부 중국 사업을 검토할 의향이 있음을 드러냈다.
운하 양쪽 입구의 항구 운영을 위해 2021년 갱신된 이 계약은 미국과 파나마가 체결한 중립 조약에 위배되는 중국의 파나마 진출 사례로 미국 의원들과 정부의 표적이 되어왔다.
파나마 정부와 일부 전문가들은 항구가 운하 운영의 일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에 대해 무시해 왔다. 운하는 파나마 정부가 감독하는 파나마 운하 당국에 의해 운영된다는 것이다.
파나마 "중국과의 협정, 조기종료 검토"
물리노는 이전 행정부 시절 중국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파나마와 중국 간 맺어진 광범위한 합의는 갱신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조기 종료 가능성을 연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뮬리노는 트럼프와 대면 회담을 갖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루비오는 이날 태평양과 운하 사이에 위치한 미라플로레스를 방문했다.
한편 중국은 운하 운영에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으며 파나마의 주권과 수로에 대한 독립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마오 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미국의 주장에 대한 질문에 "중국이 개입한 적은 없다"며 중국이 운하를 `영구적으로 중립적인 국제 수로'로 인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루비오는 중앙아메리카와 카리브해를 순방 중이며, 미국 남부 국경으로의 이주를 막기 위한 협력을 주문하고 있다.
이번 방문은 또한 라틴 아메리카에서 중국의 경제적, 정치적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 대응하려는 미국의 의도를 반영하고 있기도 하다.
윤구현기자